■ 진행 : 김선영 앵커, 김대근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정기 / 고려대 약학대학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오미크론 확산세가 가파른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전문가와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김정기 고려대 약학교수와 함께합니다. <br /> <br /> <br />안녕하세요? 조금 주춤하는가 싶었는데 다시 급증세가 아닌가, 이런 생각도 드는데요. 지금 추이를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 <br />[김정기] <br />어제는 전날 대비 다소 한 2만 명 정도가 준 신규 확진자 규모를 보였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지금 방역 당국의 결과분석은 3월 1일, 그러니까 휴일 영향이 있었던 거 같아요. <br /> <br /> <br />지금 급증세라고 볼 수 있는 건가요?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 <br />[김정기] <br />과거에 더블링이 계속 몇 주 동안 보였었거든요. 이때보다는 약간 준 경향은 조금 보이기는 합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아직까지는 확연하게 감소하지 않았다. 그러니까 이 감소라는 게 증가했다 감소하는 게 아니고요. <br /> <br />증가폭이 감소했다는 얘기입니다. 그래서 한 20만 명 정도, 20만 명대의 신규 확진자 규모를 보이게 되면 일단 감염되어야 되는 상황이 전체적인 그룹 명수가 있는데 이 부분에 있어서 한 20만 명 정도의 규모를 보이게 되면 증가폭은 조금 둔화될 거다 이렇게 예측은 했었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아직까지는 그렇게 뚜렷하지는 않다 이렇게 볼 수가 있고. 최근에 일련의 여러 가지 방역조치 완화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부분들이 원래는 조금 더 증가폭을 완화시킬 수 있는데 이런 부분들에 악영향을 주고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가지고 있거든요. <br /> <br />그래서 정점에서의 신규 확진자 규모가 저는 개인적으로 30~40만 정도로 보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이 명수가 늘어날 수도 있다는 생각도 가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최대치가 늘어날 수도 있다, 이런 전망을 하시는 거죠? 그러면 시점은 언제쯤으로 보세요? <br /> <br />[김정기] <br />제가 원래 방역조치 완화가 순차적으로 계속 진행이 돼 왔는데 그 이전에 오미크론이 우점화되기 이전에 제가 예측했던 정점에 도달하는 시기는 4월경으로 봤었거든요. <br /> <br />그런데 여러 가지 방역조치가 완화되면서 이 시점이 조금 앞당겨질 수도 있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다시 그 시점이 뒤로 늦춰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요. <br /> <br />정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30409590808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